본문 바로가기

7E6

[브랜딩] 브랜드 체험의 7E(7) 안녕하세요, 퍼플도브입니다. 지금까지 여섯 번의 포스팅을 통해 브랜드 체험의 7E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내용은 (홍성태, 쌤앤파커스)에 기반하였습니다. 7E의 각 요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으니, 이제 7E를 전체적으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브랜드 체험의 7E 요약 고객들은 제품/서비스를 인지하는 단계부터 사용하는 단계까지 모두 브랜드 컨셉을 체험/경험하게 됩니다. 갈수록 고객의 브랜드 경험이 중요시되고 있는데요, 7E에 대해서 한번 전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본질적 요소(Extrinsic Element) : 제품/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의 심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주변 요소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변 요소는, 특성이나 효익 같은 중심 요소와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중심.. 2023. 1. 20.
[브랜딩] 브랜드 체험의 7E(5) 안녕하세요, 퍼블도브입니다. 브랜드 체험의 요소에 대해 포스팅한 지도 어느덧 다섯 번째인데요. 원래는 하나하나 이렇게 깊게 설명드리게 될 줄 몰랐습니다. 하지만 브랜드 체험/경험이 요즘 들어 더 중요시되는 까닭에 나누고 싶은 이야기가 점점 많아집니다. 오늘은 스토리텔링 마케팅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오늘도 어떤 얘기가 기다릴지 주목해주시기 바랍니다. 6. 스토리 요소(Episode Elements) 고객은 스토리를 통해 브랜드를 단순히 인식하는(aware) 것을 넘어 갈망하게(aspire) 됩니다. 이때 스토리란, 단편적인 사건에 관한 이야기, 즉 에피소드 차원이라고 이 책은 말하고 있습니다. (이 책이 2012년도에 발간되었다는 점을 기억한다면, 이는 타당한 주장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지금의 비즈니스 .. 2023. 1. 20.
[브랜딩] 브랜드 체험의 7E(4) 안녕하세요, 퍼블도브입니다. 브랜드 체험의 7E, 지난 시간에는 공감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7E 중 네 번째 시간으로, 심미적 요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공감 요소가 현대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 것처럼 심미적 요소도 점점 더 중요해진다고 할 수 있을텐데요. 오늘 심미적 마케팅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그럼, 함께 살펴보실까요? 4. 심미적 요소(Esthetic Elements) 인간의 본성은 감각적 아름다움을 찾으려고 합니다. 이를 마케팅에 활용한 것이 바로 심미적 마케팅(Esthetic marketing)인데요. 보통 심미적이라고 하면 디자인을 떠올리게 되고, 디자인이라고 하면 시각적인 것만 떠올리기 쉽습니다. 하지만 디자인은 모든 오감과 관련된 것으로, .. 2023. 1. 19.
[브랜딩] 브랜드 체험의 7E(3) 안녕하세요, 퍼플도브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브랜드 체험의 7E, 그 중에서도 감정 요소에 대해 깊이 알아보았는데요. 감정의 경우, 인간과 떼려야 뗼 수 없는 관계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마케터들은 많은 기회를 찾곤 하지요. 포지셔닝맵을 그리면서 우리는 각각의 브랜드가 어떤 감정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도 있고, 고객 세그먼테이션을 하는 과정에서도 각각 다른 감정을 가진 고객들을 분리해서 생각해볼 수 있지요. 어떤 감정이라도 시장의 기회는 숨어있기 마련이고 또 그 감정들을 결합, 해체해보는 데서 여러 전략을 발견할 수도 있으니 눈여겨 보시고 많이 활용해보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오늘은 공감 마케팅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요즘 '공감'은 시대의 화두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많은 분야에서 두루 주목을.. 2023.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