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9

[브랜딩] 브랜드 체험의 7E(2) 안녕하세요, 퍼플도브입니다. 지난 시간부터는 브랜드 체험의 7E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비본질적 요소와 감정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그중 감정 요소를 이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내용은 홍성태 교수의 저서 를 참고하였습니다.) 2-2. 감성 요소(Emotion) - 팔정 홍성태 교수는 정서적 마케팅을 설명하면서 이른바 '팔정(八情)', 즉 여덟 가지 감정을 갈래지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기쁨, 즐거움, 사랑, 욕망, 노여움, 슬픔, 미움, 두려움 등이 그것인데요. 홍성태 교수는 감정들을 여러 개념적 틀(frame work)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체계별로 함께 살펴보시지요. 1) 긍정/부정 체계 기쁨, 즐거움, 사랑, 욕망 등 긍정적 감정은 고객으로 하여금 구매를 유도하는 요.. 2023. 1. 15.
[브랜딩] 브랜드 체험의 7E(1) 안녕하세요, 퍼플도브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브랜드 컨셉의 7C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부터는 브랜드 체험의 7E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마찬가지로 홍성태 교수의 저서 를 참고하였음을 밝힙니다. 브랜드 체험 홍성태 교수는 브랜딩이 크게 두 가지 요소로 나뉜다고 보았습니다. 브랜드 컨셉을 만드는 것, 그리고 그 브랜드를 실제로 체험하는 것, 이 두 가지가 그것입니다. 이때 '브랜드 체험'은 브랜드가 표방하는 컨셉을 경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브랜드 컨셉은 '제3의 공간(크리스티안 미쿤다의 표현)'을 탄생시킴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다른 공간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것들을 경험하게 합니다. 그럼 브랜드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7E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시죠. 1. 비본질적 요소(Extrinsic .. 2023. 1. 14.
[브랜딩] 브랜딩 컨셉의 7C(3) 안녕하세요, 퍼플도브입니다. 지난 두 포스팅에 걸쳐, (홍성태, 쌤앤파커스)에 나온 브랜딩 컨셉의 7C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각 요소들이 무엇인지 알았으니, 7가지 요소에 대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브랜드 컨셉의 7C 요약 [컨셉의 도출] 1) 고객 지향성(Customer Orientation) : 사업의 본질을 제품의 관점뿐 아니라 고객의 관점에서 봐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컨셉 도출 시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2) 응축성(Condensation) : 제품의 특징이나 효익을 하나로 응축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때, 나열이나 설명의 방법을 취할 것이 아니라 정서적인 메타포로서 고객의 머릿속에 남도록 하여야 합니다. [외부적 표현] 3) 창의성(Creativit.. 2023. 1. 8.
[브랜딩] 브랜드 컨셉의 7C(2) 안녕하세요, 퍼플도브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홍성태 작, 쌤앤파커스)를 참고하여 브랜드 컨셉의 7C 중 일부를 살펴보았는데요, 오늘은 나머지 부분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브랜드 컨셉의 7C 지난 시간에는 브랜드 컨셉의 7C 중 고객지향성(Customer Orientation), 응축성(Condensation), 창의성(Creativity)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기업이 아닌 고객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그들의 경험을 중요시하라는 것, 핵심의 고객의 머릿속에 임팩트있게 넣어야 한다는 것, 전략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 표현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었죠. 오늘은 나머지 4C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4. 지속성(Continuity) 말 그대로 지속적으로 브랜드 컨셉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처음부터 지속가능한.. 2023. 1. 8.